사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전에는 가장 어렵고 오래 걸리던 작업이 오픈 후 버그를 수정하는 작업이었습니다.
이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개발을 진행하며 테스트를 등한시 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원론적인 문제는 프로젝트 개발 일정을 말도 안되게 짧게 잡아놓고 작업하다 보니 개발하기 바빠서 테스트를 제대로 진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냥 겨우겨우 일정에 맞추어 개발을 하고 시스템을 오픈하면 여러분은 잃을 것이 엄청 많습니다.
1. 유저들의 신뢰를 잃어 버립니다. ( 에러가 많은 프로그램을 사용해보고 좋아할 리 없겠지요? )
2. 당연히 경영진에서 바라보는 전산실의 신뢰도 잃어버리게 됩니다.
3. 버그 수정으로 인해 많은 공수가 들어가고 다음 프로젝트에도 영향을 주어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4. 전산담당자도 자신감을 잃어버리고 일에 대한 흥미도 잃어버리게 됩니다. ( 이제 제일 크죠 )
제가 생각나는거 크게 이 4가지이고 더 많은 있죠.
이 일에 시작은 말도 안 되는 스케줄 관리에 있고 이로 인한 테스트의 부재에 있습니다.
프로젝트 스케쥴스케줄 검토 시에는 리스크에 대한 타임 스케줄을 꼭 추가로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규모에따라 10~25% 정도에 시간적 여유를 더 두는 것이 좋습니다. )
그리고 프로그램은 모듈단위에 빡세게 테스트하기 바랍니다
사용자들이 우리가 개발한 의도대로 사용해주기를 바라지만 유저들은 생각보다 똑똑하고 우리가 상상하지 못한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테스트하는 우리도 이 방법으로만 사용하겠지?라는 순진한 생각은 버리시기 바랍니다.
모든 환경에 대한 버그를 사전에 다 예방할수는 없지만 50% 이상의 문제점만 잡아내어도 시스템 오픈 후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테스트를 제대로 못하고 오픈 후 계속되는 문제점 해결에 끌려다니다 시스템 오픈에 실패하는 경우도 꽤 많이 봐왔습니다.
이왕 진행하는 프로젝트 결과도 베스트하게 한다면 좋지 않을까요?
물론 테스트를 강화하는 일은 개발작업이 상당히 힘들어 지기는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확실한 테스트를 통하여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면 오히려 다음 프로젝트부터는 테스트 시간이나 개발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테스트도 역쒸나 하면 할수록 노하우가 생기고 시간도 짧아지게 됩니다.
지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면 프로그램 개발보다 테스트에 좀 더 시간을 투여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드시 좋은 결과를 얻으 것입니다!!
'프로젝트 관리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기간 너무 타이트 하게 잡지 마라!! (0) | 2020.04.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