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쪽에서 간헐적으로 내부망이 느려진다고 문의가 와서....
확인을 하기 위해 어떤 방법이 있을까 고민을 하다가....

정말 지연속도가 발생하는지 체크를 위해 ping으로 검사를 하기로 했다.
다만... 이거 기록을 어떻게 하지... 고민하다가.....
^^ 역쒸.... 이런 프로그램이 존재했다.
 Ping Test Easy ^^ 나를 위해 만들어진 건가.. ㅡㅡㅋ

pingtest.exe
0.25MB

 

실행을 한 후 게이트웨이로 핑을 날리면 아래 그림과 같이 ping 점검을 하게 된다.

 

하루종일 체크를 해야 되기에.... 30초에 한 번씩만 점검하기 위해 인터벌을 조정하였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파일저장 기능을 활성화했다.
선택 후 저장될 파일만 선택해 주면..... ping  발생시마다 기록을 하게 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파일로 기록이 된다.

 

이제 과연 정말로 지연이 발생하는지 눈으로 점검할 시간....
퇴근 때 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까???

Posted by Midas Min™
,

업체에서 보내준 USB를 이용해 부팅 ISO를 만들어야 돼서 작업하고 정리를 해둠.

HP 전용 운영체제 USB를 받아서 이미지화시키는 작업을 했네요.

 

 

* 다운로드 페이지 : http://www.imgburn.com/

 

The Official ImgBurn Website

ImgBurn is a lightweight CD / DVD / HD DVD / Blu-ray burning application that everyone should have in their toolkit! It has several 'Modes', each one for performing a different task: Read - Read a disc to an image file Build - Create an image file from fil

www.imgburn.com

 

1.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2. Create image file from files/folders를 선택합니다.

3. 아래 그림과 같이 소스 USB 경로와 저장될 ISO 이미지 경로 및 파일명을 세팅합니다.

4. 오른쪽 탭에 Options를 선택하고 표시된 옵션을 똑같이 세팅합니다.

5. "Advanced" 탭을 선택하다음 "Bootable Disc" 탭을 선택합니다.
    Make image Bootable을 선택하여 부팅이미지 만들도록 체크합니다.
    Boot Image에 검색 창을 누릅니다.

6. 파일 검색창이 나오면 USB 메모리에서 부트파일을 선택합니다.

7. 아래 그림과 같이 값을 설정해 줍니다.
    Sectors To Load값은 8로 수정을 하세요.

8. 아래 표시된 이미지 버튼을 눌러 생성작업을 시작합니다.

9. 아래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고 "Yes"를 선택합니다.


10. 아래 파일과 폴더 정보가 나오면 "확인"을 선택합니다.

11. 그림과 같이 작업이 진행됩니다.

 

12. 완료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완료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13. 짠~~~!! 이미지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Posted by Midas Min™
,

최근 한 부서에서 노트북을 사용 중인데...
메모리 8GB가 부족하다고 연락이 왔다.
메모리가 부족해서 자꾸 프로그램 오류가 발생한다고 해서...
음.....
물론 그냥 업그레이드해줘도 되지만 메모리가 맞는지 확인이 필요했다.
그래서 문제 생겼을 당시 메모리 상태를 캡처해 달라고 할까 했지만.... 그것도 힘든 상황이라...
여기저기 검색하다가 아주 유용한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찾았다.

처음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에겐 너무 많은 정보....
난 메모리만 필요함....
File - Hardware 옵션에서 메모리만 남기고 모두 해제하였다.

아래처럼 깔끔하게 메모리만 표기될 것입니다.

이제 문제는 로그를 남겨 분석을 하는 거겠죠.
고맙게도 해당 프로그램은 모니터링한 결과를 csv 파일로 남겨 줍니다.
Options - Log Sensors를 체크하면 csv 로그 파일 남기는 게 활성화되고
Logging Interval에서 로그 남기는 주기를 선택합니다. ( 참고로 저는 10초 단위 모니터링을 위해 10s로 선택 )

아래 그림과 같이 CSV로 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앞으로 하드웨어 모니터링 용으로 많이 사용할 거 같네요!!

* 제가 사용한 프로그램 버전

LibreHardwareMonitor-net472.zip
1.61MB

* 프로그램 깃허브 링크 : https://github.com/LibreHardwareMonitor/LibreHardwareMonitor

 

GitHub - LibreHardwareMonitor/LibreHardwareMonitor: Libre Hardware Monitor, home of the fork of Open Hardware Monitor

Libre Hardware Monitor, home of the fork of Open Hardware Monitor - GitHub - LibreHardwareMonitor/LibreHardwareMonitor: Libre Hardware Monitor, home of the fork of Open Hardware Monitor

github.com

 

Posted by Midas Min™
,

간만에 후배가 들어와서 프로그램 교육을 시키고 있는데....
개발 툴에 사용되는 컴포넌트가 오래된 거라서 도움말도 예전 파일로 되어있는데... ( HLP 확장자로 되어 있음 )


윈도우 10에서 열어보니 열리지 않는다.. -_-;; 아 난감하네....

여러 가지 방법을 찾다가 결국은 해결 방법을 찾았네....
결론은 hlp 파일을 보여주는 뷰어가 있는데... 그게 XP 까지만 지원을 했었나 보다.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압축을 풀고 C:\Windows\System32 폴더에 복사해 넣는다. ( 윈도우 버전에 맞추어 사용 )

winhlp32_WinXP_x86.zip
0.00MB
winhlp32_WinXP_x64.zip
0.14MB

 

아래 명령어를 CMD 파일을 다운받아 관리자 모드로 실행한다.

Windows10_hlp_fix.cmd
0.00MB

자... 이제 HLP 파일을 열면... ㅎㅎㅎ 열린다...
-_-;;; 근데... 옛날 프로그램을 아직 쓰는 게 이상한 거겠지 ㅋ

Posted by Midas Min™
,

WIFI 암호는 한번 설정하면 자주 안 바꾸기 때문에....
가끔 새로 온 직원들의 장비를 붙여주다가 -_-;;; 앗.. 암호가 생각 안나는 경우가 있다.
내 노트북에서는 붙여 봤는데... -_-;; 기억이 안나는 불상사가.....

그래서 WIFI Password Revealer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내가 접속했던 WIFI의 비밀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 가끔가다 정말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다.
다운로드는 https://www.magicaljellybean.com/wifi-password-revealer/ 에서 할 수 있다.

Posted by Midas Min™
,

몇년전부터 YUMI - Multiboot USB Creator를 사용해 왔다.
ISO 파일만 가지고도 쉽게 부팅 USB 구성이 되어 아주 유용하게 사용했는데....
요즘 새로나온게 없나 검색하다가 Ventory 라는 프로그램이 눈에 들어왔다.
이건 머하는건고 하며 검색하보니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만들어지 USB메모리 부팅 관리자인데...
아주 편했다.

그냥 셋팅하고 USB 메모리 루트에 ISO 파일만 넣어 놓으면 그 ISO 파일로 부팅이 됐다.
^^;;; 이야 세상 참 좋아졌다. 웃음이 나오네요!! ^^;;;
당장에 USB 메모리 1개로 테스트를 했는데.. 역쒸나 엄청 편하네요!! ^^

 

ventory github 사이트 : https://github.com/ventoy/Ventoy/releases

 

Releases · ventoy/Ventoy

A new bootable USB solution. Contribute to ventoy/Vento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1. ventoy 사이트에 접속하면 최신 버전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윈도우용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2. 다운로드 된 파일을 압축 해제 후 다음과 같이 Ventoy2Disk.exe를 실행합니다.

 

3.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Device에 해당 USB 메모리를 선택하고 "Install"을 선택합니다.


4.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오면 "예"를 눌러 포맷을 실행합니다. ( usb 메모리 안에 자료가 삭제되니 주의하세요!! )

 

5. 아래 그림과 같이 진행되며 포맷을 완료하고 부팅관리자 프로그램 셋팅이 완료 됩니다.

6. USB 메모리로 이동하면 비어 있습니다. 필요한 ISO 파일을 복사해 넣습니다.

7. 이제 작업은 끝났습니다.
   새롭게 OS를 설치하거나 WIN PE로 부팅할 PC에 USB 꽂고 컴퓨터를 켜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8. 저는 WIN10 PE로 부팅을 해보겠습니다.

 

그림과 같이 부팅이 성공적으로 됩니다.
^^ 여러분도 한번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걸로 소개를 마칩니다.

Posted by Midas Min™
,

전산실 관리를 하다 보면 FFP로 설치되어 해당 PC에 설치된 키가 맞는지 확인해야 되는 경우가 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저는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네요!!
포터블 방식과 설치 파일 2가지다 사용기 가능하며 CDKEY 확인 시에 잘 사용하고 있네요!!
설치 후 KeyFinder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프로그램별 KEY를 확인이 가능합니다.

 

* 프로그램 다운로드

 

1. 포터블 방식 프로그램

keyfinder.zip
0.60MB

2. 설치 방식 프로그램

KeyFinderInstaller.exe
0.89MB

Posted by Midas Min™
,

전산 관리를 하다 보면 이것저것 잡다한 지식을 많이 알아야 된다.
네트워크 설계를 할 때 SUBNET 나누는 거라든지...
아.. 이 포트가 무엇을 하는 포트 번호인지...
서버 RAID 구성을 할 때 어떻게 구성해야 되고 디스크는 몇 개가 필요한지 등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제공하는 사이트가 있어 공유합니다.
자주 사용은 안 하지만 꼭 필요할 때 엄청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 사이트 접속 URL : https://wintelguy.com/

* Subnet Calculator

* Raid Capacity Calculator

Posted by Midas Min™
,

최근 몇 년 사이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로 백업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또한 화재나 장비 장애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백업은 점점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많은 회사들은 전산팀에 많은 자원(비용)을 투여하며 백업을 고도화하고 있지만...
제가 근무하는 중소기업에서는 많은 비용 투입이 어렵죠.

그런다고 로컬 백업으로는 한계를 느꼈습니다.
그래서 NAS 장비를 이용하여 SMB 프로토콜을 이용해 백업을 받았지만 항상 연결이 되어 있기에
해킹으로 인한 랜섬웨어 피해시 직격타를 맞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화재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경우 해당 자료가 다 소실될 수도 있는 거죠.
그러다 어떻게 하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을 하는 와중에 WINSCP를 알게 되었고

스크립트 작성과 윈도 스케줄 기능을 이용해 2,3차로 원격지 백업 구성을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이용한 기능은 F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백업을 구성하였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니 해당 프로그램을 연구하여 원격지 백업을 고도화해보시기 바랍니다.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 : winscp.net/eng/download.php

Posted by Midas Min™
,

darkwalker라는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이 오픈소스로 개발하고 계시는 프로그램입니다.

저도 가끔씩 사용하는 유용한 프로그램이네요!!

저도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개해야지 생각만 하고 진행하지 못하고 있네요 ㅠ_ㅠ
소스까지 오픈해주시는 착한 개발자분의 작품입니다.

 

다운로드 URL : blog.naver.com/darkwalk77/221349401402

 

 

 

Posted by Midas Min™
,